나의 양심에는 마음수련이 필요하다, 양심의 실체 (feat. 트롤리 딜레마)

마이클 샌델 이라는 하버드의 유명한 교수를 아시나요?
하버드 대학에서도 유명한 강의로 손꼽히는 <JUSTICE, 정의>는 한국에서도 유명해서 EBS 등에서도 방송을 해주곤 했지요.


이 강의를 진행했던 교수인데요.


이분의 책이 한동안 베스트셀러 코너를 채우고 있던 시절, 대체 이분은 얼마나 마음 수련을 하셨길래 이런 철학적인 질문으로 책을 냈을까 생각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첫 수업에 마이클 샌델 교수는 학생들에게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열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열차가 달리는 방향으로 5명의 인부가 서있죠. 그대로 열차가 가다 보면 5명이 죽습니다. 그런데, 내 앞에 방향을 바꾸는 레일 변환기가 있습니다. 이걸 당기면 방향이 바껴서 5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방향을 바꿀 것인가요?”

트롤리 딜레마로 보는 윤리적 마음의 실체


이 질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방향을 바꾼다고 대답을 합니다. 실제 이 문제는 영국의 윤리 철학자인 필리파 푸트가 제안한 것으로, 응답자의 89%방향을 바꾼다고 대답했죠.

여러분들도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그럼, 또 다른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같은 듯 다른 질문인데요.

딜레마엔 빠진 마음의 실체


육교 밑으로 내가 한 사람을 밀어서 떨어뜨리면, 열차를 멈출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5명의 인부가 죽습니다. 당신은 이 한 사람을 육교 밑으로 밀어서 떨어뜨리겠습니까?”

하버드 강의 정의에서 마이클 샌델 교수가 던진 질문에 학생들도 똑같이 당황합니다. 선뜻 그러겠다고 이야기한 사람이 없었죠.

실제 이 문제는 미국 철학자 주디스 톰슨이 추가적으로 제안한 이야기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78%밀어서는 안된다라고 대답을 했죠.



겉보기에는 똑 같은 질문처럼 보입니다. 그렇지 않나요?
내가 한 선택에 의해서 4명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면, 똑같이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두 질문에 대해서 완전히 다르게 응답자들이 반응을 했지요.
이건 왜 그런걸까요?

간단하게 짚어보면,
내가 개입이 되느냐, 내가 개입이 안되느냐
어떤 프레임으로 문제를 정의할 것인가?’
로 압축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성적 마음과 이성적 마음실체


1.     내가 개입이 되는지(감정적) / 개입이 안되는지(이성적)

즉 어떤 의사 결정을 내릴 때, 그것이 내 손이 닿지 않고 나의 개입이 적어서 이성적 판단이 가능하다면, 이는 더 많은 사람을 살리는결정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내가 내 손으로 직접 사람을 밀어야 한다면, ‘감성적 판단이 앞서게 되죠. 그 느낌도 싫고 감정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때는 뇌의 편도체가 활성화 되면서 감정적판단을 하게 됩니다. 1명을 내가 밀지 않겠다, 라고 말이죠.


어떤 관점으로 바라볼것인가


2. 구한다? 죽인다? 어떤 프레임으로 문제를 바라보는가

첫번째 질문에서는
방향을 바꾸어 5명을 구할 것인가라고 물어봅니다.
두번쨰 질문에서는
사람을 밀지 않고 5명을 죽일 것인가라고 물어보죠.
또 희생시켜도 되는 1명이 아닌, 나와 가장 친한 사람이라면? 이라는 질문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그렇게 되면 단순히 인원수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사가 얽힌 또다른문제가 됩니다.

이처럼 같아 보이는 문제로, 어떤 프레임으로 제시를 하느냐에 따라서도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집니다.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가지 잣대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앞뒤 맥락과 결과에 대한 이해가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것에 따라 사람들의 반응은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첫번째 질문과 두번째 질문에서 사람들의 대답이 정 반대로 나온 것과 같은 결과를 보이겠죠.


이 윤리적 질문은, 마음에 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하지만
사람은 참 섬세한 마음의 실체를 갖고 있는 존재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라는 말과 같은 맥락으로 말이죠.
단어 하나 바꾸거나, 조건 하나만 추가해도 사람의 마음은
갈대처럼 움직입니다.
최종 선택 결과도 판이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심리실험과 뇌실험으로 사람을 연구하는 중인가 봅니다. 마음수련과 같은 명상으로 실체를 알아가는 중이기도 하고요.  이 엄청나게 복잡한 마음의 실체를 알기란 하늘의 별따기와도 같네요.





Comments

Popular Posts